블록체인
블록체인의 정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합니다. ‘디지털 화폐분야’에서는 거래당사자 사이(P2P 네트워크)에서 오가는 전자화폐(비트코인, bitcoin)를 사용할 때 돈이 한번 이상 지불되는 것을 막는 기술입니다. ‘보안 분야’에서는 블록 체인 기술은 비트코인처럼 특허가 없는 오픈 소스인 데다 활용 가치가 적지 않아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고,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고객 데이터베이스(DB) 유지 보수와 보안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이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거래 분야’에서 블록체인은 누적된 거래 내역 정보가 특정 금융회사의 서버에 집중되지 않고 온라인 네트워크 참여자의 컴퓨터에 똑같이 저장, 추가적인 거래가 일어나면 각 참여자의 승인을 받도록 하며, 장부 자체가 인터넷상에 개방돼 있고 수시로 검증이 이뤄지기 때문에 해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 합니다.
블록체인 거래과정은 Hash를 이용하며 A가 B에게 거래를 요청하면 해당 거래 블록을 생성해 네트워크상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하고 정보 상호 검증이 완료된 블록을 체인에 결합하면 거래가 완료됩니다.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분류되며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퍼블릭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구성원들은 블록체인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볼 수 있으며, 높은 개방성으로 데이터 위변조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누구나 데이터를 볼 수 있고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거래나 기업 기밀문서 관리에 적용 시는 검토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퍼블릭 블록체인 서비스는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있습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폐쇄된 네트워크 내에서 인가된 사람 혹은 머신만이 블록체인에 참여하도록 하는 서비스로 금융거래, 전자문서 보관소, 문서 보안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적용 예로는 R3CEV Corda, 미국 나스닥 비상장주식거래 플랫폼, 삼성SDS 넥스레저(Nexledger) 가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활용 분야는 해외에서 다양한 산업영역에 활용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는 금융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점차 영역을 확대해 적용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금융거래는 거래취소가 어렵고, 중앙관리장치가 없기에 거래에서 문제 발생 시 책임을 지는 역할이 없습니다.
'IT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슈어테크"란 무엇인가? (0) | 2020.06.09 |
---|---|
한국판 뉴딜의 시작 - 매일경제 기사 발췌 (0) | 2020.06.09 |
Agile(애자일) 개발 선언 (0) | 2020.06.04 |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이술, 가상화(Virtualization)의 이해 (0) | 2020.06.04 |
변화에 대한 현명한 대응, 애자일(Agile) (0) | 2020.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