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자격증 후기

30대 정보관리기술사 합격 후기 - 서브 노트 활용 방법 (단권화)

by 별기수리 2025. 3. 17.
반응형

각 기술사 분들은 자신만의 전략 서브노트를 대부분 갖고 있기 마련입니다.
저 또한 수험 생활을 하면서 나만의 서브노트를 만들고 반복해서 보았습니다.
 

 
합격자로서 제 서브노트에 담았던 내용을 공유합니다.

 
1. 질문별 작성 전략방향 설정

- 정보관리기술사의 질문이 나오면 어떻게 작성할지에 대한 전략 방향 설정

질문 내용작성방법
시사점시사점은 이슈사항에 대한 대응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
기반 기술가장 기초가 되는 기술 작성
성장 배경물어본 것이니 최대한 5개 이상의 표로 작성할 것
주요 기술서비스 측면, 이용자 측면 / 관리적 측면, 기술적 측면
평가 제도평가대상, 평가절차, 평가요소
(정의)묻지 않아도 정의는 꼭 쓸 것!
비교&차이관점을 최대한 많이 나눌것! [개도특절기목(취대) - 보안이면]
- 개념, 개념도, 특징, 절차, 기법, 목적, 취약점, 대응방안
3단락) 활용사례
답안 구성밑줄 치기, 중요한건 2번 이상 쓰기

 

 
2. 멘토링 내용 피드백 작성

- 반복되는 나의 취약점 빠른 발견 및 해결 

멘토링 날짜멘토링 내용고민사항/문제사항멘토해결
20YY-01-DD묻는 데로만 쓰면 된다! 남들은 묻는데로 안쓰는 경우가 많다!
문제를 잘 읽을것!!! 묻는 것에 집중! 집중!
문제 집중 부족AAA 기술사 문제 다시보고 답안지 쓰기
20YY-12-DD비교, 차이에 약한 듯
- 남들보다 더 많이 쓴다는 장점 존재
- 자신감 있게 쓰세요!!!! (이상하게 써도 내가 답이다 라고 쓸 것!)
- 2교시 목차잡기 연습할 것
- 1등 보다 더 잘쓸 수 있도록 생각할 것
경쟁력, 차별화 부족AAA 기술사 내가 기술사다!
도입부, 3단락 추가
20YY-08-DD쓸 때 연관 관계 꼭 생각하고 쓸 것, 어떻게 연관 관계가 있는지 설명에 자세히 쓸 것
★ 생각하고 쓰세요!

1교시에서 4문제 이상은 3단락 꼭 쓸 것(차별화)
답안지 인상은 괜찮음
연관 관계 부족AAA 기술사 기술간 연관 관계 맵핑
20YY-08-DD갑자기 생각나는 건 3단락에 쓸 것(핀트가 나가서 오히려 감점요소가 됨)
- 정의(맺음말 주의!!) 연습
정의 맺음말 주의BBB 기술사 물어본 것에 집중하기
20YY-07-DD월~금 : 전 도메인 키워드 반복
토 : 주간 모의고사 준비
일 : 주간 모의고사 복습

1교시 : 초반 중간 끝 3개씩 선택후 가장 잘 쓸 수 있는 1개 선택
2교시 : 썰 푸는 문제 1개 선택 후 막 남발하기 금지! 생각하고 쓸것

마지막주 : 토픽 선정해서 복습할 것만 무한 반복
남은 7주 동안 10번은 더 회독할 것AAA 기술사 키워드 반복 학습량 늘리기
20YY-05-DD절차를 제대로 모르면 "프로젝트 상황에 따라 Tailoring 가능" 쓰고, 그림에는 항상 설명이 필수!어설쓰게 암기해서 절차 그림CCC 기술사 간글 연습
20YY-04-DD적어도 300개에 대해서 정의쓰기와 키워드 3개이상 도출하는 연습할것(하루에 20개 이상)지금 상황에서 합격 전략은?!BBB 기술사 정의쓰기, 3가지 구성요소 연습
20YY-04-DD정의가 굉장히 흔들림, 정의 공부를 해야할 듯암기+정의 부족AAA 기술사 정의쓰기 연습
20YY-04-DD아무것도 하지말고 전체 도메인 4회독 이상 할것, 일주일 내에 전체 도메인이 회독되어야함 AAA 기술사 도메인 반복
20YY-04-DD개념은 무조건 표로 쓸것, - 긎고 쓰니 가독성 떨어짐!
맨 마지막장은 간글 쓰고 끝낼 것! (나 뽑아줘!!라는 절실한 마음으로)
 AAA 기술사 
20YY-04-DD데코레이션 부족, 채점자에 대한 배려 부족!
밑줄 같이 강조를 두어 채점자가 집중해야할 포인트를 줄 것
모든 사람이 봤을 때 쉽게 읽히는 글이 곧 합격지 답안
그리고 암기 하세요!! (시간 투자)
채점자가 좋다고 한 포인트를 잘 정리해둘 것
-> 이것이 나만의 차별점, 강점임, 변화구를 잘 주는 편
왜 내 글이 읽히지 않는가DDD 기술사 
20YY-04-DD모범 답안 부터 보고 어떤 키워드가 많이 등장하는지 볼 것암기 부족!!BBB 기술사 
20YY-04-DD개념 쓸 때 구성 서로 다르게 해볼것 (하나는 표, 하나는 - 긎고 2줄쓰기 등)
- "특징" 말고 "핵심" 이라고도 작성해 볼 것
 AAA 기술사 
20YY-04-DD큰 단락은 한칸 앞에서 시작, 줄에 붙여서 쓸 것, 표 그릴 때 앞에 막기가독성 부족AAA 기술사 
20YY-03-DD2단락 끝나고 간글 적기(표에 대한 설명), 특강 내용 참고할 것차별점 및 답안 흐름 제공 필요AAA 기술사 
20YY-03-DD비교하라는 문제는 구분을 적어도 5개 이상 도출할 것 AAA 기술사 
20YY-02-DD시간을 자주 봐서 시간 관리 할 것시간 조절이 안됨(시간 OVER)EEE 기술사글씨 크기 키움, 적당히 씀(여백의 미!!)

 
 

3. 정의 쓰기 연습

- 도입부의 인상은 정의(개념)이 결정하므로 정의 쓰기가 핵심!

도메인 일차 문제 도입부 정의
[1차]        
도메인 일차 문제    
DS 1 Queue 선입선출 선형 리스트 한쪽에서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의 자료구조
DS 1 B-Tree(Balanced Tree) 좌우 균형
루트와 Leaf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가 좌우 균형을 맞춰 항상 2개이상 자식노드를 지닌 트리형 자료구조
DS 1 AVL Tree 균형상태(±1이하) 각 노드의 왼쪽 서브트리와 오른쪽 서브트리의 높이 차이가 절대값 1이하인 이진탐색트리
DS 1 R-tree 최소 사각형 기반
최소 사각형(MBR: Minimum Bounding Rectangle)에 기반 한 인덱싱 기법으로 N차원의 공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
AL 1 O-Notation 복잡도 점근 표기법 데이터 수 N에 대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를 표현한 상한 점근 표기법(asymptotic notation)
[2차]        
도메인 일차 문제    
AL 2 퀵정렬 기준 값 중심 분할 정렬 Pivot 기준의 큰 원소와 작은 원소로 분할 정렬 후 같은 방법으로 반복 정렬 알고리즘
AL 2 힙정렬 완전 이진 트리 완전 이진트리 형태의 최대 힙이나 최소 힙 구성 후 감소되는 순서로 정렬하는 방법
AL 2 해시테이블 해시함수 적용 검색 key값에 해시함수 적용해 배열 고유한 Index 생성 후 빠르게 검색가능한 자료구조
AL 2 Dijkstra 알고리즘 최단거리 도출 노드와 엣지로 구성된 그래프에서 한 시작 정점에서 모든 정점까지 최단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
AL 2 최소 신장 트리 가중치 합 최소 무방향그래프 G에서 모든 정점들을 연결하는 가중치 합이 최소가 되는 신장 트리
[3차]        
도메인 일차 문제    
SW 3 Huffman Coding 발생 빈도에 따른 압축 자주 발생하는 데이터에 짧은 부호, 그 외는 긴 부호 할당하는 데이터 압축 기법
SW 3 대기행렬이론 대기자 효율적 통제 고객 도착 후 효율적인 서비스 대기 수준 유지위한 서비스 능력 및 규모 결정 이론
ST 3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   주어진 표본 속성을 정량적으로 기술하고 요약하는데 초점을 둔 데이터 분석 통계
ST 3 베이즈 정리 독립된 두 확률변수 관계 서로 독립된 두 확률 변수의 사전확률과 사후 확률 사이 관계를 나타낸 정리
ST 3 가설 검정 가설 합당성 여부 모집단 실제값 추정관련 표본 사용해 가설의 합당성 여부 판정하는 과정

 
 
4. 시험 대비 집중 키워드 선별 정리 (500개)
- 시험을 앞두고 집중할 키워드 선별하여 정리

중요도Topic구성방안키워드 특징 및 설명
36.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Cloud Native Application)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

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성요소 및 원칙
나. 클라우드 네이티브 도입을 위한 적합성 검토 항목





[원칙] 12Factors, 15Factors (API, 인증, 보안)

사업기획 단계(도입 적합성 검토) > ISP 컨설팅 단계(업무별 적합성 검토 및 도입 방안 수립) > 시스템 구축 단계(네이티브 도입 최종 결정)
정책/업무, 서비스, 조직, 프로세스, 기술
 
3가. 재현데이터의 개념 및 특징
나. 재현데이터의 생성기법 및 도구
다. 재현데이터의 국내외 활용사례

[생성기법] [전베기차]
[생성도구] PoPGen, Virtual Belgium, TRANSIMS, Synthia, sms(R기반 Lib), simPop(R기반 Lib)
[활용사례]
 
4가. 경계보안과 제로트러스트 보안 비교
나. 제로트러스트 기본원리 및 핵심원칙(접근방법)
다.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
라. 제로트러스트 성숙도 모델

제로트러스트 접근제어 원리

[핵심] 접근제어 정책
[매커니즘(작동원리)] 아키텍처는 SDP 처럼 그릴 것 !!! (선인증 후연결)
- 제어 영역(Control Plane) > PDP(PE(엔진), PA(보안연관)) 정책 결정 지점
- 데이터 영역(Data Plane) > 비신뢰 -> PEP(제로 트러스트 실행) 정책 시행 지점 -> 신뢰 (기업 리소스)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의 핵심 보안 기능은 접근제어 정책이며, 모든 자원 접근에 대한 신뢰도평가·인증·허가는 PDP, PEP 통신의해 결정
[성숙도 모델] Traditional, Adavanced, Optimized /
- 국내환경 맞춤 "성숙도 수준별 핵심요소 6가지") [식기네시응데] (식별자 및 신원, 기기 및 앤드포인트, 네트워크, 시스템, 응용 및 워크로드, 데이터)
<< 가시적이고 분석적인 자동화 오케스트레이션 / 거버넌스 >>
[제로트러스트 접근제어 원리]
(제어 영역(Control Plane))
: 정책결정지점(PDP) [ 정책 엔진(PE), 정책 관리자(PA) ]
(데이터 영역(Data Plane))
: 접근 주체 > 비신뢰 > 정책실행지점(PEP) > 신뢰 > 기업 리소스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도입을 위한 절차
- 준비 > 계획 > 도입 > 운영 > 피드백
4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1.0 주요내용 중 핵심원칙
(K-제로트러스트)


가. 제로트러스트(Zero Trust)의 정의
나.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1.0 주요내용 중 핵심원칙
핵심원칙 위한 기본원리 [모중사 최단신]
모든 접근 비신뢰, 일관되고 중앙 집중적 정책 관리 및 접근 제어, 사용자, 기기의 강력한 인증,
최소 권한 부여, 세션 단위 접근 허용과 통신 보호기술(논리 경계 생성/세션 단위 접근), 신뢰성 지속적 검증 제어
핵심원칙 [★인마소★ 모중사점 중최단 모중단]
- 인증체계 강화(모중사검) / - 마이크로 세그멘테이션(중최단) / - 소프트웨어 정의 경계(SDP)(모중단)
[도입절차] [준계구운피] 준비 > 계획 > 구현 > 운영 > 피드백 및 개선
- 준비 : 기업망 핵심요소 중심, 현재 보안 대상 수준 평가
- 계획 : 성숙도 모델 기반 보안 도입 설계 및 예산 검토
- 구현 : 주요 자원 위치, 프로토콜 등 고려한 적합 솔루션 검토 및 구현
- 운영 : 기본철학, 핵심원칙 동작 설정 관리
- 피드백 및 개선 : 완성도 비교, 모니터링, 개선방안 도출
//위험관리 프레임워크 단계 : 준비 > 분류 > 선택 > 구현 > 평가 > 인가 > 모니터링 > 전략 확장
 
312. 쿼리 오프로딩과 CDC(Change Data Capture) 비교
7. 쿼리 오프로딩과 CDC(Change Data Capture)를 비교 설명하시오

5. 데이터베이스 리플리케이션(Replication)과 쿼리 오프로딩(Query offloading) 설명



1. DB 의 리플리케이션(Replication)과 클러스터링(Clustering)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CDC
[정의] DBMS의 Write 작업에 대한 요청을 Log에 저장하고 이를 읽어서 Ta r g e t D B 로 전송하고, 이를 SQL로 변환하여 실행하는 데이터 통합 기술
[원트파목]
원본 DB > (변경) 트랜잭션 변경 로그 > (캡처/ NW전송) 원격 파일 시스템 > (적용) 목표 DB
- source 시스템 / target 시스템
- 유형 : [로스마다] 트랜잭션 로그 복제, 스냅샷 복제, 마스터-슬레이브 복제, 다중 마스터 복제
주요기술 : Host Agent, Snapshot, Disk block Map, Disk Imaging

 
3NoSQL 모델링 패턴


1. NoSQL(Not Only SQL)에 대해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NoSQL 의 BASE 속성 및 CAP 이론
나. NoSQL 의 데이터 모델 유형 및 모델링 패턴
다. NoSQL 의 모델링 절차

6. NoSQL 모델링 패턴 3 가지 및 NoSQL 모델링 절차를 설명하시오


- CAP 이론, Schemaless, 비관계형, 조인불가, 중복허용, BASE

[모델링 패턴(패턴, 설명, 특징)] [비어앱 아인컴]
- 비정규화(같은 데이터 중복 저장, rdbms 역정규화 비슷) / - Aggregation(유연한 스키마, Schema-less)
- Application Side Join(Client 단 join 로직 처리) / - Atomic Aggregate(일관성 보장) : 테이블 하나로 통합
- Index Table(Nosql 인덱스 지원 x, 별도 인덱스 테이블 만듬. 인덱스 생성)
- Composite Key Table(복합키 인덱스 모델, 복합 인덱스 생성)

- [탐설최 도 쿼패기 후선]
탐색 : 도메인 모델 파악
설계 : 쿼리결과 디자인 > 패턴을 이용한 데이터 모델링 > 기능 최적화
최적화 : 후보 NoSQL 선정 및 테스트 > 선정된 NoSQL 최적화 및 하드웨어 디자인)

3가지 패턴 : Key/Value Store, Ordered Key/Value Store, Document Key/Value Store
 

 
이상 서브노트 구성 내용이었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