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AI 등의 기술 발전으로 IT 환경이 급변하면서, 기업들은 IT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과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해 ITSM(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 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ITSM의 기본 개념과 구성 요소, 최신 동향 및 SLA(서비스 수준 계약) 관리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ITSM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1. ITSM이란 무엇인가?
ITSM은 단순히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서비스 제공의 전 과정을 관리하고 최적화하여 비즈니스 목표와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관리 체계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프로세스 중심의 관리: IT 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세스(예: 인시던트, 문제, 변경 관리 등)를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운영합니다.
- 고객 가치 극대화: IT 서비스가 비즈니스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고객 요구사항과 기대에 부응합니다.
- 지속적 개선: 서비스 운영 중 발생하는 이슈를 신속히 해결하고, 지속적인 개선 활동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킵다.
2. ITSM의 주요 프레임워크 및 모델
ITSM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국제 표준과 프레임워크가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ITIL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Library)
- ITIL V4: 최신 ITIL 버전은 가치 중심 접근법과 협업, 민첩성, 지속적 개선을 강조합니다. IT 서비스의 기획부터 설계, 전환, 운영, 그리고 개선에 이르는 전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합니다.
2.2. COBIT
- IT 거버넌스와 관리: IT 서비스가 기업의 비즈니스 목표와 일치하도록 IT 프로세스와 리스크를 관리하며, IT 자산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합니다.
2.3. ISO 20000
- 국제 표준: IT 서비스 관리 체계에 대한 국제 인증 표준으로, 서비스 제공업체의 역량과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제공합니다.
2.4. CMMI, eSCM, SPICE 등
-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 ITSM의 프로세스 개선과 역량 향상을 위해, CMMI나 SPICE와 같은 성숙도 평가 모델이 활용됩니다. eSCM은 특히 아웃소싱 환경에서 업무 개선을 위한 지침으로 사용됩니다.
3. SLA 관리와 ITSM의 연계
SLA(서비스 수준 계약) 는 ITSM 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SLA 관리는 고객과의 합의된 서비스 수준을 정의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운영 및 모니터링 체계를 마련하는 프로세스입니다. SLA 관리는 ITSM의 다음과 같은 측면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 서비스 수준 관리(SLM): SLA를 기반으로 고객과 공급자 간의 책임과 기대를 명확히 하고, 서비스 제공 수준을 지속적으로 측정·분석합니다.
- 핵심 성능 지표(KPI): MTTF(평균 무고장 시간), MTBF(평균 고장 간격), MTTR(평균 복구 시간) 등 지표를 활용하여 서비스 가용성과 복구 능력을 평가합니다.
- 지속적 개선: SLA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IT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이처럼 SLA 관리는 ITSM의 한 축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와 IT 서비스의 지속 가능한 개선을 위한 중요한 도구입니다.
4. ITSM 구현의 핵심 구성 요소
ITSM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인력, 프로세스, 조직, 기술이라는 네 가지 구성 요소가 필수적입니다.
- 인력: ITSM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확보 및 지속적인 교육이 중요합니다.
- 프로세스: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와 운영 지침(SOP)을 마련하여, 일관된 서비스 제공 체계를 구축합니다.
- 조직: 각 부서 간 협업과 명확한 책임 소재를 통해, IT 서비스 관리 체계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 기술: ITSM 도구 및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하여, 실시간 모니터링과 빠른 문제 해결을 지원합니다.
5. 최신 ITSM 동향
현대 IT 환경의 변화에 따라 ITSM도 다양한 최신 기술과 방법론과 결합되고 있습니다.
- 디지털 전환 및 자동화: AI, 머신러닝, 클라우드 기반 ITSM 도구를 활용하여, 예측 분석 및 자동화된 서비스 관리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 Agile 및 DevOps와의 융합: 민첩한 개발 및 운영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ITSM 역시 Agile 및 DevOps와 연계되어 지속적 통합과 개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빅데이터와 KPI 분석을 통해, 서비스 성과를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문제점을 신속히 개선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표준 준수: ISO 20000, COBIT 등 국제 표준을 준수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ITSM은 단순히 IT 인프라를 관리하는 것을 넘어, 고객 가치 극대화와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적인 IT 서비스 관리 체계입니다. SLA 관리, ITIL, COBIT, ISO 20000 등 다양한 모델과 최신 기술을 융합하여, ITSM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기업은 변화하는 IT 환경 속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조직에서도 ITSM의 기본 개념과 최신 동향을 이해하고, 체계적인 IT 서비스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비즈니스 성과를 높이시길 바랍니다.
요약 정리
SLA 관리 방법, ITSM(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
[정의] 고객과 합의된 SLA 수준에 맞게 품질을 유지하도록 프로세스, 자원, 기술 등 종합 IT 서비스 관리 기법
[목적] - ITIL 기반 IT 서비스 관리체계와 운영방식 도입 - 궁극적으로 IT 역량과 성숙도 향상 통한 비지니스 가치 재창출
[모델] [SECI2] SLM/SLA/SoW, e-SCM, CMMi, ITIL, ISO20000, COBIT
[프레임워크 구성요소]IEC SSSS - ITIL V4, eSCM, CMMI, SPICE, SLA, SLM, SoW, MTTF, MTBF, MTTR
eSCM : 아웃소싱 절차 업무개선 지침 활용
SLM : 공급자와 고객사와의 서비스 레벨에 대한 관리 및 가용성 측정
CMMI : SW 공학의 기능적 통합 중점으로, 통합 제품의 개발, 능력, 성숙도 평가와 지속적 품질 개선 모델
ISO 20000 (OUTSOURCING 국제표준) : 아웃소싱 제공업자 능력수준 평가 모델
[구성요소] 인프조기 - 인력, 프로세스, 조직, 기술
[3단락 성공적 구축 요건] 계획/구축/운영 단계
'정보관리기술사&컴퓨터응용시스템기술사 > IT경영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W, SLA, SLM의 차이 (0) | 2023.02.26 |
---|---|
[데이터 경제(Data Economy)] 데이터 활용을 통한 가치 창출 경제 (0) | 2020.12.17 |
[구독경제(Subscription Economy)] 소유하지 않고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제 (0) | 2020.12.17 |
[공유경제(Sharing Economy)] IT시장의 스마트한 아나바다 운동 (0) | 2020.12.16 |
[오픈뱅킹(Open Banking)] , 금융의 혁신적 개방 (0) | 2020.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