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 용어 정리29

ROM (Rough Order of Magnitude) "개략적 규모 산정치 ROM (Rough Order of Magnitude) "개략적 규모 산정치"란? 프로젝트 cost/time management에서 비용과 시간 산정은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서 측정되고 수정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왜냐하면 프로젝트 시작에는 세부적인 작업이나 Risk, 잠재적인 변경요소 등에 대해서 모르기 때문에 대략적인 측정만 가능하기 때문이며 그렇기 때문에 +/- %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Acceptable 하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프로젝트에서 일반적으로 다루는 산정치는 아래와 같이 두가지가 있다. ※ 개략적 규모산정치 (Rough Order of Magnitude Estimate) : 프로젝트 착수 시에 주로 하는 산정치이며, 약 -25% ~ +75% 정도의 Acceptable Ra.. 2020. 7. 25.
가상화(Virtualization)란? / 가상화와 클라우드 컴퓨팅 차이 가상화는 컴퓨터에서 컴퓨터 리소스의 추상화를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로 “물리적으로 다른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통합”하거나 반대로 “하나의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분할”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마치 하나의 장치를 여러 개처럼 동작 시키거나 반대로 여러 개의 장치를 묶어 하나의 장치인 것처럼 사용자에게 공유자원으로 제공할 수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입니다. 가상화의 목적 및 주요 기능으로는 사용자와 물리 리소스 간의 가상화 Layer 구현을 통하여, 컴퓨팅 리소스에 대한 접근 및 인프라 관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상화 목적입니다. 가상화의 주요 기능은 4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ICT 자원의 “공유(Sharing), 풀링(Pooling), 애물레이션(Emulation), 캡슐화.. 2020. 6. 11.
"인슈어테크"란 무엇인가? 보험(Insur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등의 정보기술(IT)을 활용해 기존 보험산업을 혁신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핀테크(금융과 정보기술의 결합)의 한 영역인 인슈어테크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의 IT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보험 서비스를 일컫는다. 인슈어테크가 도입되면 기존의 운영방식이나 상품 개발 및 고객 관리 등이 전면적으로 재설계되어 보다 고차원적인 관리 및 서비스가 이뤄진다. 예를 들면 전체 가입자에게 동일하게 적용하던 보험료율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르게 적용하거나 사고 후 보상 개념인 기존 보험과 달리 사고 전 위험관리 차원으로 접근하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 보험 상담 업무도 로봇이 대행할 수 있고, 빅데이터 관리.. 2020. 6. 9.
한국판 뉴딜의 시작 - 매일경제 기사 발췌 [단독] 한국판 뉴딜 `언택트·디지털SOC` 집중 이지용 , 오찬종 기자 데이터·5G·AI 전략과 병행 공공빅데이터 민간개방 2배 에듀테크·스마트시티 등 활용 포스트 코로나 일자리 창출 디지털 성장 촉진법도 제정 코로나19 포스트 시대에 대비해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윤곽이 잡혔다. 6일 정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가 발표할 한국판 뉴딜 정책의 핵심은 'DNA+US'로 요약된다. 정부는 이를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한 후 6월 초 구체적인 세부 사업 방향을 정해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 담아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A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올해 대통령 신년 업무보고 주제로 꺼내들었던 AI 일등 국가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 D(데이터)는 관련 산업을 올.. 2020. 6. 9.
블록체인 이란? 정의와 개념, 활용 방안 블록체인 블록체인의 정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합니다. ‘디지털 화폐분야’에서는 거래당사자 사이(P2P 네트워크)에서 오가는 전자화폐(비트코인, bitcoin)를 사용할 때 돈이 한번 이상 지불되는 것을 막는 기술입니다. ‘보안 분야’에서는 블록 체인 기술은 비트코인처럼 특허가 없는 오픈 소스인 데다 활용 가치가 적지 않아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고,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고객 데이터베이스(DB) 유지 보수와 보안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이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거래 분야’에서 블록체인은 누적된 거래 내역 정보가 특정 금융회사의 서버에 집중되지 않고 온라인 네트워크 참여자의 컴퓨터에 똑같이 저장, 추가적인 거래가 일어나면 각 참여자의 승인을 받도록 하며, 장부 자체.. 2020. 6. 7.
Agile(애자일) 개발 선언 우리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또 다른 사람의 개발을 도와주면서 소프트웨어 개발의 더 나은 방법들을 찾아가고 있다. 이 작업을 통해 우리는 다음을 가치 있게 여기게 되었다. 공정과 도구보다 개인과 상호작용을 포괄적인 문서보다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계약 협상보다 고객과의 협력을 계획을 따르기보다 변화에 대응하기를 가치 있게 여긴다. 이 말은, 왼쪽에 있는 것들도 가치가 있지만, 우리는 오른쪽에 있는 것들에 더 높은 가치를 둔다는 것이다. - 캔트 백, 제임스 그레닝 등의 애자일 선언문에서 2020. 6. 4.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이술, 가상화(Virtualization)의 이해 가상화란? 컴퓨터에서 컴퓨터 리소스의 추상화를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로 "물리적으로 다른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통합하거나 반대로 하나의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분할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기술" 마치 하나의 장치를 여러 개처럼 동작시키거나, 반대로 여러 개의 장치를 마치 하나의 장치인 것처럼 사용자에게 공유자원으로 제공할 수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 가상화 대상이 되는 컴퓨팅 자원 프로세서(CPU), 메모리(Memory), 스토리지(Storage), 네트워크(Network)를 포함하며, 이들로 구성된 서버나 장치들을 가상화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자원 사용율과 분산 처리 능력을 제공 가상화의 이점 가상화를 통해 IT 대응력, 유연성, 확장성을 높이면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습니다. .. 2020. 6. 4.
변화에 대한 현명한 대응, 애자일(Agile) 변화에 대한 현명한 대응, 애자일(Agile) 마이크로소프트가 IE3에 사용한 개발 방식은 애자일(Agile)이란 이름으로 세상에 알려집니다. 애자일은 한 마디로 ‘짧은 주기의 반복 실행을 통해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입니다.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으로 부상한 애자일은 이미 실리콘밸리에서 대세가 되었습니다. 아마존이나 자포스와 같은 혁신 기업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애자일 기법이 활용되고 있을 정도입니다. 애자일 방식에서는 앞을 예측하거나 계획을 정교하게 세울 필요가 없습니다. 일을 작게 쪼개고, 우선순위를 가려 중요한 것부터 반복적으로 실행하면 되기 때문이지요. 시행착오가 많은 것은 당연하게 여겨집니다. 변화에는 민감하게 그리고 유연하게 대처하면 되므로 끊임없이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가면.. 2020. 6. 2.
전자 서명, 電子署名, digital signature 전자 서명, 電子署名, digital signature 전자 문서의 모든 수신자가 서명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출처와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계산되어 데이터에 첨부되는 값. 전자 서명을 통해 데이터의 생성원과 무결성을 수신자가 검증할 수 있고 제 3자에 의한 데이터 위조로 부터 발신자 및 수신자를 보호하고 또한 수신자에 의한 위조로부터도 발신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상거래 보안을 위해 사용된다. 2020. 6. 2.
인공 지능, 人工知能, Artificial Intelligence, AI 인공 지능, 人工知能, Artificial Intelligence, AI 컴퓨터로 구현한 지능 또는 이와 관련한 전산학의 연구 분야. 인공 지능은 사람 또는 동물의 지능이 컴퓨터로 모사될 정도로 세밀하고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다는 생각에 기반을 둔다. 지능에 대한 정의와 마찬가지로 인공 지능에 대해서도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인공 지능의 방법과 관련된 탐색, 논리 및 추론, 지식 표현, 계획, 학습 등 세부 분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로보틱스 등의 분야에서 응용된다. 최초의 인공 지능 연구로 1943년 워렌 맥컬로치(Warren McCulloch)와 월터 피츠(Walter Pitts)가 제안한 인공 뉴런(neuron) 모델을 들 수 있다. 인공 지능이.. 2020. 6. 2.
[IT기사 스크랩] 2020 ‘금융업이 뒤집힌다’…국내 핀테크 시장 트렌드 TOP3 ‘금융업이 뒤집힌다’…국내 핀테크 시장 트렌드 TOP3 이건한 2020.05.30 핀테크(Fintech)의 등장은 금융업에 새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새로운 사업분야가 창출되고 소비자 접근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기존 금융기업과 기술기업 사이 경계가 흐려지며 무한경쟁 속 혁신 서비스 등장이 예견돼 있기도 하다. 여기에 최근 금융관련 규제가 대폭 완화되며 업계 전반의 변화도 가속될 전망이다. 향후 국내 핀테크 시장의 전망은 어떨까? 금융위원회와 한국핀테크지원센터가 개최한 ‘코리아 핀테크위크 2020’이 지난 28일부터 온라인상에서 열렸다. 특별세션 중 ‘한국의 핀테크 산업 및 정책동향’을 주제로 김세호 삼정 KPMG 상무가 발표한 ‘국내 핀테크 시장의 주요 트렌드’를 정리해봤다. ① 데이터 3법 통과.. 2020. 5. 31.
공인인증서 관련 기사 모음 막 내리는 공인인증서... 차기 전자서명 시장은 누가 차지할까 [IT동아 남시현 기자]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신분이나 신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신분증을 요구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국가 고시나 시험같이 철저한 본인 확인이 필요한 부분부터 은행 업무나 민원 신청 등 일상생활 모든 곳에서 신분증이 필요하다. 하지만 물리적 실체가 없는 온라인 공간이라면 본인 신분을 특정하기란 쉽지 않다. 온라인 금융 거래라면, 이 사람이 정말 본인인지, 개인 정보를 탈취한 제 3자인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점을 인식한 정부는 1999년 전자서명법을 통해 전자 서명 제도를 마련한다. 이 인증 체계가 바로 '공인인증서'다. 공인인증서는 본인 인증을 거쳐 생성된 비대칭암호 체계로, 인터넷을 통한 행정, 금융, 전자.. 2020. 5. 28.
반응형